역사의 보물상자 백제왕도 공주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편 메디치 시간의 강을 거슬러 역사의 실체를 만나는 시간여행

웅진백제 발굴 이야기 <역사의 보물 창고 백제왕도 공주>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편 메디치

역사의 보물상자 백제왕도 공주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편 메디치 시간의 강을 거슬러 역사의 실체를 만나는 시간여행 1

석장리 구석기 유적부터 웅진백 유적까지 땅속에서 찾아낸 고대인들의 생활문화와 유구히 빛나는 공주의 진면목이 마침내 드러날 <역사의 보고 백제왕도 공주>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편 메디치 역사관련 지식에 대한 관심이 있는지 물어볼 수 있는데, 이 책을 읽고 싶어진 것은 ‘백제’라는 키워드 때문이었다.

역사에 대해 알아가는 것이 즐거워요.요즘은 번역 L사 관련 책에 더 관심을 갖고 있지만 단순히 역사에 대해 쓴다는 것이 마음을 움직인 것은 아니었다.

우리 역사에서 가장 재미있는 부분, 억지로 외우기보다는 줄거리에서 외울 수 있는 부분이 삼국시대 부분이라고 생각한다.

그리고 그 삼국시대 중에서도 특히 ‘백제’에 관심이 많았다.기장의 큰 이유는 좋아하는 사극이 백제를 배경으로 하기 때문이며, 사극에서 주인공들이 입었던 옷이나 활동했던 건물들은 지금도 기억난다.백제문화제, 특히 장신구의 아름다운 모습이 지금도 기억에 남을 만큼 인상적이었다.

그리고 백제에 대해 알게 되고 어렸을 때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읽었던 추억을 만날 수 있을 것 같아 이 책을 조금은 설레는 마음으로 기대했다.

역사의 보물상자 백제왕도 공주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편 메디치 시간의 강을 거슬러 역사의 실체를 만나는 시간여행 2

백제시대라기보다 공주와 이 지역의 역사가 중요한 초점이지만, 내가 바라는 그리고 궁금증과 기억이 희미하고 확인하고 싶었던 내용이 충분히 담겨 있었다.

하지만 그걸로 잘 읽혔다기보다는 처음 시작이 궁금증과 관심을 유발하기 때문이었다.

처음에는 우연한 사건이 역사가 된 이야기였다.EBS에서 강사 최태성 씨의 강의를 들으며 뗀석기가 한국에서 발견된 것이 특별하고 의미 있는 것과 우연한 과정이었다는 것을 알았다.

하지만 강의에서 들었던 한두 줄의 문장이 아니라 이렇게 장으로서 정중히 안내해주니 새롭고 그 가치와 내용을 자세히 읽어내니 그저 그렇구나 하는 식으로 지나쳤을 때와는 달랐다.

그러나 국사시험에 대비하듯 무조건 외워서 외우려고 할 필요는 없다.책에 대한 목적 자체가 다른 역사 이야기를 이해하듯 읽으면 된다.

그리고 뗀석기에서 시작해 무령왕릉에 관한 부분, 주로 문화재라는 이름이나 유적이라는 이름으로 기억하는 것도 자세히 볼 수 있도록 사진이 제시되어 있어서 좋았다.

이렇게 큰 사진으로 찍은 것도 처음이어서 고무령왕릉에 대한 부분은 어릴 적 관련 영상이나 책에서 보던 내용이 떠올라 헷갈렸던 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좋았다.

역사의 보물상자 백제왕도 공주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편 메디치 시간의 강을 거슬러 역사의 실체를 만나는 시간여행 3

‘흥미진진한 역사의 포실’이라는 코너도 놓치지 않고 자세히 읽어보는 것이 더 유익하다.

공주에서 있었던 중요한 발굴 이야기를 모은 내용이 이렇게 역사 이야기를 자세히 담고 있다는 것이 신기하기도 하다.그만큼 역사연구와 기록에서도 발굴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.

상세하고 세세한 내용까지 잘 쓰여져 있다는 생각이 든다.세부적인 내용까지 어떻게 구성할지 고민하고 노력한 책이라는 생각도 든다.

책은 공주가 좋아 시리즈의 첫 번째 책이다.현재 한두 권의 책이 출판되고 있다는데, 앞으로 또 어떤 책이 나올지 기대되고 궁금해요!

  •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기 작성한 리뷰입니다.